프로그래밍 언어/Python 6

python tesseract 사용 환경 설정하기

취미로 하고있는 모바일 게임에서 길드 마스터를 맡았다. 길드의 성장을 위해 레이드 딜링 시트를 제작 하고 싶었고, 30명이나 되는 인원의 딜량을 일일이 손으로 적기에는 너무 양이 많았다. 그래서 프로그램으로 만들기로 했다. 1. 레이드 딜량 스크린샷을 OCR 하여 길드원들의 데미지를 문자로 변환 2. 구글 스프레드시트 API 를 사용하여 일별 데미지를 길드원 셀에 작성! 우선 OCR 수행을 위해 오~랜만에 python을 썼다. opensource 로 tesseract라는 라이브러리가 존재했고 python에서 사용하기 위해 pytesseract를 설치했다. 그 후 간단한 코드 작성! tesseract_cmd 경로에 tesseract 설치 경로에 있는 tesseract.exe 경로를 입력하고 실행! OCR ..

python : docstring

가독성 좋은 코드 작성하기 코드 문서화는 중요하다.DOCUMENTATION STRING를 줄여서 docstring 이라 한다. 보통 ''' ''' 사이에 작성하며 이 사이에 나오는 모든 문자열(줄바꿈, 공백, 따옴표 등등) 은 하나의 docstring으로 간주된다. docstring 은 반드시 함수 본문내에서 처음으로 정의되는 객체여야 하며 코드상으로 함수 선언 바로 다음 줄에 써 줘야 한다. 파이썬에서의 docstring은 단순한 주석이 아니다.docstring은 함수의 어트리뷰트 가운데 하나이며 런타임 시에 호출 할 수 있다.많은 파이썬 통합개발환경 들이 docstring 을 적극 활용한다. 특정 함수 이름을 타이핑 하기 시작하면 툴팁으로 함수의 docstring을 보여주기도 한다.

python : 코딩 스타일 가이드

코딩 스타일은 예민한 주제다. 하지만 다룰 필요가 있다. 블록을 지정하기 위해 들여쓰기를 쓰는 파이썬은 다른 언어에 비해 코딩 스타일에서 유리한 점이 있다. 블록이 있기 때문에 "중괄호를 어디에 써야 하나요?" 같은 질문을 피할 수 있는 건 축복이지만 세상이 그렇게 쉽지는 않다. 파이썬 세계에선 "어떻게 들여 써야 하나요?" 라는 질문이 있다. 그래서 현명한 파이썬 커뮤니티는 PEP 8 (Style Guide for Python Code, http://legacy.python.org/dev/peps/pep-0008/)에 표준 스타일을 소개하였다. 1. 들여쓰기는 공백 문자 네 개로 하자. 2. 한줄의 최대 글자는 79자로 한다. 3. 최상위 함수와 클래스 정의들은 두 줄씩 띄우자. 4. 파일은 UTF-8..

python : Generator와 yield 키워드

출처 : https://item4.github.io/2016-05-09/Generator-and-Yield-Keyword-in-Python/ Python의 반복문보통 for 구문을 사용해서 0부터 99까지 반복한다고 하면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선 이런 느낌이 됩니다.for (let i = 0; i >> range(10) [0, 1, 2, 3, 4, 5, 6, 7, 8, 9] >>> type(range(10)) >>> for i in range(10): ... print i**3 ... 0 1 8 27 64 125 216 343 512 729 100은 블로그에 담기엔 예시결과로는 너무 큰 관계로 10으로 줄였습니다. 실행하면 list로 0 이상 10 미만의 숫자가 들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움말..